근로장려금 지급액, 소득에 따라 어떻게 달라질까?
내 소득이면 얼마 받을까? 가구 유형별 계산 구조 완벽 해설
근로장려금은 단순히 소득이 낮다고 무조건 많이 지급되는 제도가 아닙니다. 소득 구간에 따라 ‘최대 지급액’과 ‘지급률’이 달라지며, 특정 구간에서는 오히려 소득이 높을수록 장려금이 줄어드는 구조입니다. 본 글에서는 소득별로 근로장려금이 어떻게 계산되는지, 2025년 기준 최대 지급액과 감액 방식을 상세히 설명드립니다.
가구 유형별 최대 지급액
근로장려금은 가구 유형에 따라 ‘최대 지급 가능 금액’이 다릅니다. 2025년 지급 기준은 2024년 귀속 소득에 따라 다음과 같이 적용됩니다.
가구 유형최대 지급액적용 소득 기준
단독 가구 | 150만 원 | 연 소득 약 400만 원 부근 |
홑벌이 가구 | 260만 원 | 연 소득 약 700만 원 부근 |
맞벌이 가구 | 300만 원 | 연 소득 약 800만 원 부근 |
중요: 위 금액은 최대 기준이며, 실제 지급액은 소득 구간에 따라 감액될 수 있습니다.
소득 구간별 지급 구조
근로장려금은 일정 구간에서는 소득이 늘어날수록 장려금이 증가하다가, 소득이 기준선을 넘기면 지급액이 점차 줄어드는 구조(정률 → 정액 → 감액)로 되어 있습니다.
구간설명지급 특징
① 증가 구간 | 초저소득자 (~400~800만원) | 소득이 증가할수록 장려금 증가 |
② 정액 구간 | 가장 유리한 구간 | 최대 지급액 고정 |
③ 감액 구간 | 일정 소득 초과 시 | 소득이 증가할수록 장려금 감소 |
④ 초과 구간 | 기준 초과 | 장려금 지급 불가 |
핵심: 내 연 소득이 ‘정액 구간’에 속하면 최대금액을 받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단독 가구 예시: 소득별 지급액 비교
연 소득 (만원)예상 지급액
300 | 약 100만 원 |
450 | 150만 원 (최대) |
700 | 약 80만 원 |
1200 | 약 10만 원 |
2500 | 지급 대상 아님 |
맞벌이 가구 예시: 소득별 지급액 비교
연 소득 (만원)예상 지급액
600 | 약 180만 원 |
800 | 300만 원 (최대) |
1200 | 약 160만 원 |
1800 | 약 40만 원 |
4300 초과 | 지급 대상 아님 |
주의: 배우자 소득이 300만 원 이상이어야 맞벌이 가구로 분류됩니다.
감액 구간 계산 방식
감액 구간에서는 아래와 같이 일정 비율로 장려금이 줄어듭니다. 예를 들어 단독 가구가 기준 소득(450만 원)을 초과할 경우, 초과분에 감액률을 곱해 지급액이 줄어듭니다.
계산식 예시 (단독 가구):
감액액 = (소득 – 기준금액 450만 원) × 감액률 70%
지급액 = 최대 150만 원 – 감액액
즉, 소득이 많을수록 받을 수 있는 금액은 점차 줄어듭니다.
최종 지급액은 어떻게 확인하나요?
1. 홈택스 → 근로장려금 계산기
2. 손택스 앱 → 모의 계산 메뉴
3. 국세청 고객센터 126 전화 상담
이 세 가지 방법을 통해 본인의 소득으로 받을 수 있는 예상 지급액을 미리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