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로장려금 제도의 핵심 전환, 맞벌이도 안심하고 신청하세요
2025년 근로장려금 제도에서 가장 두드러진 변화 중 하나는 맞벌이 가구의 소득 기준 완화입니다.
기존에는 두 사람 모두 소득이 있으면 오히려 불리했던 구조였지만,
이번 개편을 통해 맞벌이 가구도 보다 안정적으로 장려금 수급이 가능해졌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맞벌이 기준이 어떻게 완화되었는지, 그 배경과 효과를 종합적으로 정리해드립니다.
맞벌이 소득 기준 변화 핵심 요약
2025년부터는 맞벌이 가구의 총소득 상한이 4,300만 원에서 4,400만 원으로 소폭 인상되었습니다.
이는 실제로 맞벌이 가구 중 중간소득 이상 계층도 제도권 안에 포함시키기 위한 정책적 배려입니다.
연도기존 기준변경 기준
2024년 | 43,000,000원 | 44,000,000원 |
2025년 | → |
핵심: 소득이 조금 더 높더라도 장려금을 받을 수 있게 조정된 것
왜 맞벌이 기준이 완화되었는가?
- 물가 상승과 생활비 부담 증가
두 사람이 일해도 기초생활비조차 부족한 현실을 반영 - 근로 유인 확대
기존 기준에서는 소득이 조금만 늘어나도 장려금을 못 받아
‘일할수록 손해’ 보는 구조 문제 - 가구 구조 다양화 반영
맞벌이 일반화된 현실에 따라
‘1인 생계’ 기준에서 ‘2인 기여’ 기준으로 전환
맞벌이 요건: 꼭 확인해야 할 조건
단순히 부부 모두 일한다고 해서 맞벌이로 인정받는 건 아닙니다.
배우자의 소득이 300만 원 이상일 경우에만 맞벌이 가구로 분류됩니다.
항목조건
배우자 소득 | 총급여 300만 원 이상 |
부부 모두 근로 또는 사업소득 존재 | 필수 |
가족 합산 소득 | 44,000,000원 미만 (2025년 기준) |
완화에 따른 기대 효과
효과설명
수급자 확대 | 기존 탈락자 약 5~8만 명 포함 가능 |
중산층 진입 가구 보호 | 소득 상승에도 장려금 유지 가능 |
근로 의욕 고취 | ‘일할수록 손해’ 구조 완화 |
자녀 양육 가구 혜택 증가 | 실질 양육비 지원 효과 발생 |
신청 전 반드시 체크할 사항
- 홈택스 또는 손택스에서 맞벌이 여부 자동 판단 기능 활용
- 배우자 소득 증빙이 필요한 경우, 사업소득·기타소득도 포함
- 소득 기준 초과 시 감액 또는 탈락 가능하므로 정확한 모의 계산 필요
결론: 맞벌이도 장려금 대상입니다
2025년 개정으로 맞벌이 가구의 배제 구조는 완화되었으며,
근로에 대한 보상이 제도적으로 보장되는 흐름이 강화되었습니다.
소득이 조금 높더라도 신청 포기하지 말고 모의 계산 후 도전해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