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재난지원금이 지급되면서 ‘어디서 사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관심도 덩달아 높아졌습니다. 잘못 결제했다가 낭패 보는 분들, 아직도 많습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은 사용 가능한 업종이 명확히 정해져 있으므로, 사용 전에 반드시 확인이 필요합니다.
이 글에서는 사용 가능 업종부터 반드시 피해야 할 사용 불가 업종, 그리고 실생활에서 헷갈리는 매장까지 한눈에 보기 쉽게 정리해드릴게요.
사용 가능한 매장은 어디인가요?
재난지원금은 '주소지 기준 지역 내 가맹점'에서만 사용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서울에서 신청한 분은 서울 내에서만, 경기도 수원시는 수원시 내 매장에서만 결제가 가능합니다.
① 전통시장·동네마트
- 동네슈퍼, 식자재 마트, 생활잡화점 등
- 대형마트나 체인형 SSM(이마트에브리데이 등)은 불가
② 식당·카페·빵집
- 개인 식당, 소규모 카페, 프랜차이즈 가맹점 대부분 사용 가능
- 단, 직영점은 불가(예: 스타벅스 대부분 매장)
③ 병원·약국·의원
- 진료비, 의약품, 물리치료비 결제 가능
④ 학원·체육시설·문화시설
- 피트니스센터, 독서실, 영화관(일부 지자체 차이 있음) 사용 가능
⑤ 기타 생활 업종
- 안경점, 미용실, 세탁소, 문구점, 택시(지자체 가맹 여부 확인), 전자제품 A/S 등
⑥ 프랜차이즈 가맹점
- 이디야, 파리바게뜨(가맹점), 뚜레쥬르, 메가커피, 배스킨라빈스(가맹) 등
⑦ 농협마트·소상공 주유소
- 단, 지점마다 허용 여부 다름
사용 불가능한 매장은 어디인가요?
재난지원금은 지역경제를 위해 만들어진 정책이기 때문에 대기업, 사행성, 온라인 업종 등은 사용이 제한됩니다.
대형마트/SSM | 이마트, 홈플러스, 롯데마트, 코스트코 등 |
백화점/면세점 | 현대백화점, 롯데, 신세계, 공항면세점 등 |
복합쇼핑몰 | 스타필드, 타임스퀘어 등 |
직영 프랜차이즈 | 스타벅스, 맥도날드 직영, 일부 배라 매장 |
대형 가전매장 | 하이마트, 전자랜드, 삼성·LG 매장 등 |
온라인 플랫폼 | 쿠팡, G마켓, 배달앱(비대면 결제 시) |
유흥/사행성 업종 | 유흥주점, 카지노, 성인용 오락장 등 |
환금성 업종 | 금은방, 상품권 판매점, 귀금속점 등 |
공공요금/세금 | 수도세, 전기세, 자동차세, 재산세, 보험료 등 |
공공기관/교통 | 시청, 구청, 우체국, 버스터미널 등 |
가맹점 여부는 어떻게 확인하나요?
- 매장 입구
-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용 가능’ 스티커 또는 안내문 부착 여부 확인
- 카드사 앱/지역상품권 앱
- 사용처 조회 메뉴에서 실시간 확인 가능
- 결제 전 점원에게 문의
- 결제 오류 방지를 위해 결제 전 문의는 필수입니다
- 광역시 vs 도 지역
- 광역시는 시 전체 사용 가능
- 도 지역(예: 경기도)은 시·군 단위 제한 사용
실생활 헷갈리는 매장 총정리
프랜차이즈 가맹점 vs 직영점
- OK: 메가커피, 파리바게뜨(가맹), 이디야, 뚜레쥬르
- NO: 스타벅스, 맥도날드 직영, 일부 배라 직영
다이소
- 전체 점포의 약 30%만 사용 가능(가맹 여부 매장별 확인)
배달앱
- 앱 내 온라인 결제는 불가
- “만나서 카드결제” 기능은 일부 지역에서 가능
하나로마트
- 기본은 불가
- 단, 소상공 점포 부재 지역 등 일부 지역은 제한적 허용
자주 묻는 질문 10가지 (FAQ)
Q1. 전통시장에서 사용 가능한가요?
A. 가능합니다. 전통시장, 동네슈퍼, 중소형 상점은 모두 사용 가능 매장입니다.
Q2. 스타벅스는 왜 안 되나요?
A. 대부분 직영점이기 때문입니다. 직영 프랜차이즈는 지원금 사용이 제한됩니다.
Q3. 온라인 쇼핑몰에서도 사용 가능한가요?
A. 불가능합니다. 단, 현장 방문 결제는 가능합니다.
Q4. 배달앱 주문 시 사용되나요?
A. 비대면 결제는 불가, 현장 결제 방식으로 일부 지역에서 사용 가능합니다.
Q5. 편의점은 가능한가요?
A. 가맹점일 경우 사용 가능합니다. 대부분의 CU, GS25, 세븐일레븐이 해당됩니다.
Q6. 병원비나 약국 결제 가능한가요?
A. 가능합니다. 의료비, 약값, 물리치료비도 지원금 사용처입니다.
Q7. 도서관, 피트니스센터 등도 포함되나요?
A. 지역 가맹 여부에 따라 가능합니다. 지자체에 따라 세부 기준이 다릅니다.
Q8. 다이소는 왜 점포마다 다른가요?
A. 다이소는 일부 점포만 가맹점 등록되어 있어 개별 확인이 필요합니다.
Q9. 세금이나 공공요금 납부에 사용되나요?
A. 사용 불가합니다. 세금, 보험료, 수도·전기요금 등은 결제할 수 없습니다.
Q10. 기한 내 사용 못하면 어떻게 되나요?
A. 자동 소멸됩니다. 반드시 2025년 11월 30일 전까지 모두 사용하세요.
한눈에 보는 요약 표
✅ 사용 가능 매장 ❌ 사용 불가 매장
전통시장, 동네슈퍼, 미용실 | 이마트, 홈플러스, 코스트코 |
병원, 약국, 의원 | 백화점, 면세점, 복합쇼핑몰 |
편의점(가맹점), 프랜차이즈 가맹점 | 스타벅스, 맥도날드 직영, 애플스토어 |
학원, 체육시설, 독서실, 영화관 | 온라인 쇼핑몰, 배달앱 결제, 유흥업소 등 |
문화시설, 전자제품 A/S센터 | 금은방, 상품권, 세금, 공공요금, 교통비 등 |
맺음말
2025년 재난지원금(민생회복 소비쿠폰)은 단순한 혜택이 아닌 우리 생활 속 소비 패턴을 지역 중심으로 바꿀 수 있는 중요한 기회입니다.
올바른 사용처 확인과 계획적인 소비가 곧 혜택을 제대로 누리는 첫 걸음입니다.
지원금을 잘 활용하셔서 지역경제도 돕고, 우리 가족의 지출도 절약해보세요.
가장 중요한 건 ‘기한 내 전액 사용’입니다. 꼭 기억하세요!
"우리의 작은 소비가 지역경제에 큰 힘이 됩니다.
현명한 사용으로 혜택을 놓치지 마세요!"
댓글 쓰기